Git GUI Tool을 설치하고 GitHub를 연결하려면
GitHub 계정과 원격 저장소(Repository)가 필요합니다.
GitHub 회사 계정을 부여받았지만, 개인 계정을 새로 만들어서 원격 저장소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GitHub 가입하기
깃허브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메인 화면에서 아래처럼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곳이 보입니다.
Username, Email, Password를 입력합니다.
Email은 깃허브 가입 확인 이메일이 수신됩니다. 메일 확인 절차에서 변경하실 수도 있습니다.
사람인 것을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나선은하가 뭔지 몰라서 검색해서 찾아봤습니다..
신상 조사를 합니다.
직업, 개발 경력, 깃허브 사용 계획, 흥미 등을 물어봅니다.
처음에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된 이메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안 왔다면 다시 보낼 수도 있고, 이메일을 잘못 입력했다면 변경도 가능합니다.
이메일에서 GitHub 가입 승인 메일을 확인하면 가입이 끝납니다.
GitHub 원격저장소(Repository) 생성
GitHub 가입 승인 메일로 확인받으면 아래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Create a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
모르고 홈으로 가셨더라도 왼쪽 상단에 보이는 초록색 버튼(Create repository)을 찾으시면 됩니다.
새로운 원격저장소의 이름과 옵션 등을 지정합니다.
Repository name : 원격저장소의 이름이 됩니다.
Description : 원격저장소의 설명을 적습니다.
Public / Private : 원격저장소의 공개 여부를 정합니다. Public은 다른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습니다. Private는 지정한 사람만 볼 수 있습니다.
Add a README file : 원격저장소에 올린 프로젝트를 설명해 줄 노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Add .gitignore : 원격저장소에 올릴 때 필요없는 파일을 제외시키기 위한 파일입니다.
Choose a license : 원격저장소에 올린 프로젝트의 라이선스를 지정합니다.
원하는 이름, 옵션 등을 지정하고 Create repository를 눌러 원격저장소를 생성합니다.
간단하게 원격저장소가 생성되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urcetree] Sourcetree에 GitHub 연결하기 (Clone) (0) | 2020.12.04 |
---|---|
[Sourcetree] Git GUI Tool - Sourcetree (소스트리) 설치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