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 관리 툴을 TortioiseSVN에서 GitHub로 옮기게 되어 Git GUI Tool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의 GUI 툴이 아래 링크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Git - GUI Clients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for committing (git-gui) and browsing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platform-specific experience. If you want to add another GUI tool to this list, just follow the instru
git-scm.com
GitKraken, Fork 등을 추천해주고 있지만, 여러 GUI Tool을 설치해서 사용해보고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처음 사용하는 툴을 Sourcetree로 결정했습니다.
Sourcetree 설치
www.sourcetreeapp.com/에 들어가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저는 윈도 환경이기에 윈도 버전으로 받았습니다.
소스트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Bitbucket에 로그인해야 한다고 합니다.
Bitbucket을 찾아보니 아틀라시안에서 만든 형상관리 툴입니다.
다음으로 가기 위해 선택 메뉴를 조사해봤습니다.
- Bitbucket Server : 개인 서버를 이용하여 Bitbucket을 이용할 때 사용합니다.
- Bitbucket : Cloud를 이용하여 Bitbucket을 이용할 때 사용합니다.
저는 계정이 없었기에 'Create one for free'로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했습니다.
다시 돌아와 Bitbucket을 눌러 로그인해줬습니다.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Mercurial을 설치할지 여부를 묻습니다.
Mercurial도 크로스-플랫폼 분산 버전 관리 도구라고 합니다. 전 설치하지 않으므로 체크박스를 해제했습니다.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모든 저장소에 이 세부 내용 활용은 체크박스 해제 상태로 놔뒀습니다.
사용 데이터를 누르면 개인정보 처리 방침 페이지가 뜹니다.
Help improve Sourcetree by sending 체크박스를 해제해주었습니다.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불러올 SSH 키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나중에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아니오' 선택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urcetree] Sourcetree에 GitHub 연결하기 (Clone) (0) | 2020.12.04 |
---|---|
[GitHub] GitHub 가입 및 원격 저장소(Repository) 생성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