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BR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비율을 나타냅니다.
PBR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 |
주가가 주당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주당순자산은 주식 한 주당의 가격으로 주주들이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
그래서 PBR은 1에 가깝게 나타납니다.
그럼 PBR을 수치로 단순하게 생각해 봅시다.
1보다 높다면 그만큼 주가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매수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1보다 낮다면 그만큼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매수를 하기에 적합한 수치입니다.
안전한 투자를 원한다면, 낮을수록 매수를 고려합니다.
하지만, PBR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고 해서 주식이 또 떨어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만큼 잠재능력이 커서 높은 주가를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지표와 마찬가지로 PBR이 높다고 주가가 무조건 떨어지거나, 낮다고 주가가 무조건 오르지는 않습니다.
다른 다양한 요인으로 주가가 변동되기 때문에 이외의 수치와 재무제표 등 많은 조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728x90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EV/EBITDA 란? (0) | 2022.05.12 |
---|---|
[주식용어] ROE(자기자본이익률) 이란? (0) | 2022.05.10 |
[주식용어] BPS(주당순자산가치) 란? (0) | 2022.05.08 |
[주식용어] EPS(주당순이익) 이란? (0) | 2022.05.04 |
[주식용어] PER(주가수익비율) 이란? (0) |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