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ing/Android

앱 버전 관리 규칙 (Semantic Versioning)

어기적어기적 2020. 10. 26. 16:49
728x90

앱을 개발하고 출시하게 되면 앱 버전이 필요합니다.

저마다의 특색을 살려 버전명을 지을 수도 있지만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칙이 있습니다.

이 규칙을 소개해드리기 전에,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10위까지의 앱 버전을 조사해봤습니다.

(2020년 10월 26일 기준)

Versioning

중간중간 다른 방식의 버전명이 보이지만 대부분 X.X.X 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을 Semantic Versioning이라고 합니다.

 

Semantic Versioning

Semantic Versioning은 소개해놓은 페이지가 따로 있습니다.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semver.org/lang/ko/

 

유의적 버전 2.0.0

Semantic Versioning spec and website

semver.org

 

Semantic Versioning에서 정한 앱 버전은 이러한 형식입니다.

MAJOR.MINOR.PATCH


MINOR version : 기존 API와 호환되는 기능이 추가되었을 경우, 기능 추가나 기존 기능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올립니다.

MAJOR version : 기존 API와 호환되지 않는 변경이 있는 경우, 사용자 눈에 띄도록 많은 변화가 있을 경우에 올립니다. 앱이 새롭게 느껴지신다면 올리시면 됩니다.

PATCH version : 기존 API와 호환되며 기능 추가 없이 기타 버그 등을 수정했을 경우, 동작에 문제가 있는 버그 등을 고쳤을 경우 올립니다.

 

제가 버전명을 정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정리해 봤습니다.

각 버전은 0부터 시작합니다.

모든 버전은 1,2,3... 으로 증가합니다. 숫자 앞에 0이 붙어서는 안 됩니다.

MAJOR version이 0이라는 것은 초기 버전(테스트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안정화 버전이 되면 1.0.0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을 보시려면 위 링크로 들어가셔서 둘러보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전을 정하고 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앱의 버전을 보고 얼마나 활발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겠죠.

728x90